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프로젝트
- DFS
- intern10
- GIS
- folium
- 멋쟁이사자처럼
- SQL
- 마이온컴퍼니
- graphrag
- TiL
- likelion
- 멋사
- 인턴10
- Join
- BFS
- 알고리즘
- Python
- 멋재이사자처럼
- ux·ui디자인
- seaborn
- 그리디
- parklab
- DP
- 마이온
- 시각화
- paper review
- 파이썬
- GNN
- likelionlikelion
- Rag
Archives
- Today
- Total
지금은마라톤중
Seaborn Tutorial (3)_Multivariate views on complex datasets 본문
STUDY/seaborn Tutorial
Seaborn Tutorial (3)_Multivariate views on complex datasets
Ojungii 2023. 2. 9. 17:00seaborn 함수는 여러 종류의 플롯을 결합하여 데이터 세트에 대한 유익한 요약을 빠르게 제공한다.
그 중 하나인 jointplot()은 단일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그것은 각 변수의 한계 분포와 함께 두 변수 간의 공동분포를 시각화한다.
penguins = sns.load_dataset("penguins")
sns.jointplot(data = penguins, x= "flipper_length_mm", y = "bill_length_mm", hue = "species")
pairplot() 은 더 넓게 표현한다. : 각각 모든 쌍별 관계와 각 변수에 대한 공동 및 한계 분포를 보여준다.
sns.pairplot(data=penguins, hue="species")
도표를 만들기 위한 낮은 수준의 도구
이 도구들은 축 수준의 플로팅 함수를 그림의 레이아웃을 관리하는 객체와 결합하여 데이터 세트의 구조를 축 그리드에 연결하여 작동
두 요소 모두 공용 API의 일부이며, 몇 줄의 코드만 더 있으면 복잡한 수지를 만들기 위해 직접 사용할 수 있다.
g = sns.PairGrid(penguins, hue = "species", corner = True)
g.map_lower(sns.kdeplot, hue = None, levels=5, color = ".2")
g.map_lower(sns.scatterplot, marker = "+")
g.map_diag(sns.histplot, element = "step", linewidth = 0, kde = True)
g.add_legend(frameon = True)
g.legend.set_bbox_to_anchor((.61, .6))
'STUDY > seaborn Tuto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aborn Tutorial (6)_Figure-level vs. axes-level functions (1) | 2023.03.13 |
---|---|
Seaborn Tutorial (5)_Similar functions for similar tasks (0) | 2023.03.01 |
Seaborn Tutorial (4)_Opinionated defaults and flexible customization (0) | 2023.02.19 |
Seaborn Tutorial (2)_A high-level API for statistical graphics (0) | 2023.02.07 |
Seaborn Tutorial (1)_An introduction to seaborn (1) | 2023.02.0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