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알고리즘
- 마이온
- 파이썬
- ux·ui디자인
- DFS
- folium
- SQL
- tog
- 멋사
- parklab
- 멋쟁이사자처럼
- likelionlikelion
- BFS
- graphrag
- seaborn
- intern10
- 멋재이사자처럼
- 마이온컴퍼니
- Join
- TiL
- likelion
- Python
- 인턴10
- paper review
- Rag
- GNN
- 시각화
- DP
- 그리디
- 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Python (5)
지금은마라톤중

파크랩 사이언스 컨퍼런스 챗GPT 활용을 넘어 탑재로 with AlFactory - Plugins and API 연사 : 김태영 (대표이사 (주)인공지능팩토리) 김태영 대표님은 2023 빅리더 프로젝트 인턴쉽에서 ChatGPT에 대해 강연해주신 인연이 있는 연사분이다. 오늘은 ChatGPT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법에 대해 강연했다. 차근차근 기법 일명 ‘차근차근 기법’에 대해서도 말씀하셨다. 공식적인 기법은 아니고 프롬프트 끝에 ‘차근차근 생각해봐’라는 말만 써도 성능이 높게 나오다는 것이다. 너무 간단한 방법이라 웃겼지만 2023 빅리더 프로젝트 인턴쉽 1차 프로젝트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경험해보니 가능성이 있는 기법이라고 생각했다. CoT(Chain-of-Thought) 프롬프트 작성시 응답의 구조..

파크랩 사이언스 컨퍼런스 생태학자와 실무자를 위한 Google Earth Engine 연사 : 라미로 D. 크레고 | 보전생물학자 (유니버시티 칼리지 코크 생물지구환경과학부) 오늘은 2023스마트국토엑스포에 참석했다. 그 중 국립공원공단 유병혁 과장님이 주관하는 파크랩 오픈사이언스 컨퍼런스를 들었다. 나는 현재 유병혁 과장님과 함께 국립공원을 위한 GIS 서비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라미로 D. 크레고의 기조세션으로 컨퍼런스를 시작했다. 크레고씨는 google earth engine에 대해서 소개했다. 공간정보 분석에 있어 구글어스엔진이 얼마나 강력한지에 대해 설명했다. 머신러닝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회귀나 분류 등의 머신러닝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드를 나누어 교차검증이 가능하며 대륙차원에서의 ..
2023.03.07 ● 상관계수는 -1~1 사이의 값 피어슨 상관계수(r) r이 -1.0과 -0.7 사이이면, 강한 음적 선형관계, r이 -0.7과 -0.3 사이이면,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 r이 -0.3과 -0.1 사이이면, 약한 음적 선형관계, r이 -0.1과 +0.1 사이이면,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선형관계, r이 +0.1과 +0.3 사이이면, 약한 양적 선형관계, r이 +0.3과 +0.7 사이이면,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 r이 +0.7과 +1.0 사이이면, 강한 양적 선형관계 질문🙋🏻♂️: 현실세계에서 양의 상관이 있는 것과 음의 상관이 있는것 무엇이 있을까요? - 양의 상관 교육 수준과 소득 수준. 기온과 아이스크림 판매량 회사규모와 평균연봉 - 음의 상관 체중과 운동량 강수량과 관광객 수 질..

2023.02.08 오늘은 버거지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보았다. 버거지수란 ? : 한 도시의 발전 수준은 (버거킹의 개수+맥도날드의 개수+KFC의 개수)/롯데리아의 개수를 계산하여 높게 나올수록 더 발전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 버거지수가 클수록 발전된 도시로 판단 - 버거킹 관련 매장들을 살펴보았다. df.loc[df["상호명_대문자"].str.contains("버거킹|BKR"), "상호명_대문자"].unique() 🙋🏻♂️ 질문 : 현업에서 분석할 때 저런 (주) 버거킹티피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거해주지 못한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나요??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를 어느정도 할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지금 사용하는 데이터도 실시간 데이터는 아닙니다. 어느정도의 ..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없다. seaborn은 일관된 데이터 세트 지향 API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표현 사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relplot() : 다양한 통계적 관계를 시각화하도록 설계 - relplot 함수 안에 kind 파라미터를 통해 그래프의 종류를 쉽게 바꿀 수 있다. dots = sns.load_dataset("dots") sns.relplot( data = dots, kind = "line", x = "time", y = "firing_rate", col = "align", hue = "choice", size = "coherence", style = "choice", facet_kws = dict(sharex=False), ) size와 style 파라미터는 sc..